project Management System
국내외 많은 IT조직에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향상을 위하여, PMS(Project Management System)를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단순한 수작업으로 SW 프로젝트 관리를 수행하기에는 체계의 복잡성이나 업무의 양 자체가 매우 크다는 것을 입증한다. 실제로 PMS와 같은 자동화 시스템 없이 다수의 프로젝트를 체계적인 관리 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때문에 수많은 조직에서 앞다투어 PMS를 도입하고 있다.
PMI에서는 프로젝트 관리 업무를 아래와 같이 분류하고있다.
출처: 12. 프로젝트 관리방법론이란? (brunch.co.kr)
회의록 내용
09.22 회의록
- 주요 회의 예정
1) PMS 시스템 분석 취합
2) 주제 선정
3) 분야 분담
4) PMS 템플릿 선정
5) 권한 논의
6) 요구사항 분석 및 화면설계서 작성
(요구사항은 분석 시 대략적인 기능만 작성, 화면설계서는 'Process' 삭제 후, 경로로 대체)
- 주요 회의 내용
1) PMS 시스템 분석 취합
- 공유
2) 주제 선정
- 기업 관리 시스템 (IT)
3) PMS 분야 분담
-
4) PMS 템플릿 선정
- SB Admin2 (기본 무료 템플릿)
5) 권한 논의
- CEO(경영자), HR(인사팀), PM(프로젝트 관리자), TM(참여자)
6) 요구사항 분석 및 화면설계서 작성
(요구사항은 분석 시 대략적인 기능만 작성, 화면설계서는 'Process' 삭제 후, 경로로 대체)
7) PMS 분야 역할 및 기능
공통 : CEO (조회 위주이기 때문에 CEO의 역할은 따로 정해지지 않은 상태)
지은님 : 일정
혜진님 : PM
성근님 : TM
다은님 : HR
(1) 통합 관리 : 대시보드 조회 (TM)
(2) 일정 관리 : 프로젝트의 통합 일정 관리 (TM)
(3) 의사소통관리 : 채팅, 보고서 제출 (TM)
(4) 범위관리 : 프로젝트 등록 (PM), 프로젝트 확인 (결과-대시보드)
(5) 인적자원관리 : 프로젝트 참여인원 관리 (PM), 기업의 인적관리 (HR)
TM : 프로젝트 관리 (보고서 제출, 채팅)
일정 관리 (팀 / 개인, Gantt Chart)
PM : 프로젝트 관리 (프로젝트 등록)
대시보드
(추가기능) 리스크 관리
HR : 인적관리
로그인
(선택 옵션 - 상황에 따라서 추가로 구현할 수 있는 범위)
(1) 위험관리 : 리스크 등록 (TM), 리스크 조치 (PM)
(2) 품질관리 : 테스트 결과 (TM), 결과 조치 (PM)
--------------------------------------------------------------------
09.24 주요 회의 내용
분석할 사항이 더 있으면 분석 후에 공유
요구사항 분석 및 화면설계서 작성 진행 공유